정부, 트럼프에 “농산물개방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Member
Search
icon

추천 검색어

  • 클로이
  • 코로듀이
  • 여아용 구두
  • Leaf Kids
  • 아동용 팬츠
  • 남아용 크록스
  • 여아용 원피스
  • 레인부츠

뉴스

정부, 트럼프에 “농산물개방

profile_image
sans339
2025-08-01 12:30 9 0

본문

쿠팡퀵플렉스 정부, 트럼프에 “농산물개방 민감한 상황” 설득관세협상 이후에도 한미 발표에서 일부 시각차사과·복숭아·LMO 감자 수입 압박 가능성 주시[헤럴드경제=배문숙·양영경 기자]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정치적으로 가장 민감한 쌀과 소고기의 추가 개방을 저지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가 수입 농축산품 검역절차 개선을 추가 논의 사항으로 언급한 만큼 최종 합의문의 작성되기 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1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3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한국 무역협상단과의 면담 도입부에서 과일 등 농산물 검역 관련 이야기를 꺼낸 것으로 알려진다.이에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출범한 지 50일밖에 안 된 이재명 정부가 비상계엄과 탄핵 등을 극복하고 정치적 안정을 이뤄야 하는 시점에서 농산물 개방은 민감한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설득한 것으로 전해진다.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통상협의 결과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연합]정부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무역협상단과의 면담에서 여 본부장의 말에 이해한다면서 공감해준 것으로 안다”면서 “이로써 쌀과 소고기 등 농산물 추가 개방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할 것이고 자동차, 트럭, 농업(농산물) 등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고 적었다.정부는 협상단 면담 내용과 달리 농산물을 언급한 것에 대해선 “정치 지도자의 표현으로 이해한다”며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거나 합의된 바가 없으며 한국은 미국의 5대 농산물 수입국으로 이미 99.7% 농산물이 미국에 개방돼 있기 때문에 이를 언급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설명정부, 트럼프에 “농산물개방 민감한 상황” 설득관세협상 이후에도 한미 발표에서 일부 시각차사과·복숭아·LMO 감자 수입 압박 가능성 주시[헤럴드경제=배문숙·양영경 기자]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정치적으로 가장 민감한 쌀과 소고기의 추가 개방을 저지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가 수입 농축산품 검역절차 개선을 추가 논의 사항으로 언급한 만큼 최종 합의문의 작성되기 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1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3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한국 무역협상단과의 면담 도입부에서 과일 등 농산물 검역 관련 이야기를 꺼낸 것으로 알려진다.이에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출범한 지 50일밖에 안 된 이재명 정부가 비상계엄과 탄핵 등을 극복하고 정치적 안정을 이뤄야 하는 시점에서 농산물 개방은 민감한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설득한 것으로 전해진다.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통상협의 결과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연합]정부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무역협상단과의 면담에서 여 본부장의 말에 이해한다면서 공감해준 것으로 안다”면서 “이로써 쌀과 소고기 등 농산물 추가 개방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할 것이고 자동차, 트럭, 농업(농산물) 등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고 적었다.정부는 협상단 면담 내용과 달리 농산물을 언급한 것에 대해선 “정치 지도자의 표현으로 이해한다”며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거나 합의된 바가 없으며 한국은 미국의 5대 농산물 수입국으로 이미 99.7% 농산물이 미국에 개방돼 있기 때문에 이를 언급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설명했다.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된 3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미국산 소고기가 진열돼 있다. 이번 협상에서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해 30개월 미만 소고기 수입은 그대로 유지된다. [연합]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부과에서 오락가락하는 정책을 시행한다는 점에서 한국무역협상단의 면담결과와 달리, 추가 시장 개방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게 됐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현지 브리핑에서 “회담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과채류에 대 쿠팡퀵플렉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