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자기 밭에서 수확한 것이 더 맛있다

sans339
2025-08-02 19:20
1
0
본문
천안아이파크시티
굳이 자기 밭에서 수확한 것이 더 맛있다며부침개 반죽을 준비한다(부창부수)나도 모르게 입가에 침이 고인다 막걸리!요즘은 새벽에도 덥던데,예열된 팬에 오일 넉넉히 두르고,작년에 주말농장에 수확해 담가놓은호박 부침개.25년 수확물 호박, 양파, 청양고추 넣은프라이팬에 반죽 올려놓고.요리 장갑으로 반죽을 집어 팬에 올린 후이러다 채소가게 갈 일이 없어서호박과 양파, 청양고추를 꺼내농부는 새벽에 밭일을 하는 거라며점심 무렵에 현관으로 들어섰다.지글지글.....엄청나게 큰 호박은흙을 털어내고 왔다고 하지만청양고추 장아찌에양파와 청양고추는 칼로 썰었다.완성된 부침개는 접시에 담아 식탁으로~~풀어놓은 보따리 대충 정리하고,그 자리에서 한 장 찢어 먹고 저녁에 새우젓 넣고 지져 먹기로 새벽 4시에 주말농장으로 달려간 남편님.고생한 남편님을 위한 노동주는남편이 지나가는 자리마다 흔적이 남는다손으로 얇게 펴준다.밀가루가 엉겨질 정도의 물을 넣어 반죽을 한다.채소가 하나같이 너무 싱싱해서성가신 마음은 온데간데없고,부자 되는 거 아닌가 몰러앞뒤로 노릇 & 바삭하게 부쳐서서너 장 부쳐지면애호박은 채칼로 썰고, [의령=뉴시스] 차용현 기자 = 호우경보가 내려진 지난달 19일 오후 경남 의령군 대의면 신점마을 신정교 인근 제방이 무너져 하천수가 범람하고 있다. 2025.07.19.con@newsis.com [서울=뉴시스]정예빈 기자 =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홍수가 대부분 지방하천에서 발생하면서 지방하천 제방 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가 발간한 '기후위기 적응대책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홍수 피해가 발생한 하천 중 93.6%(연평균 669개소)는 지방하천이었다. 국가하천은 6.4%(연평균 46개소)에 불과했다. 매년 지방하천에 홍수 피해가 집중됨에도 제방 정비율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19년 48.07% 수준이었던 정비율은 2023년 48.78%에 머물며 개선이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2023년 말 기준 국가하천 73개소 평균 제방 정비율인 78.8%에 한참 못 미친다.하천은 하천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된다. 국가하천은 국토 보전이나 국민 경제에 중요한 하천으로, 환경부 장관이 관리한다. 지방하천은 지방의 공공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 광역시장, 시장, 도지사 등이 관리하고 있다.예정처는 지방하천 정비율이 낮은 이유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예산 지원 감소와 지방하천 관련 사업이 지방정부로 이양된 것을 꼽았다. 국토교통부의 '지방하천정비 사업', 행정안전부의 '소하천정비 사업', 환경부의 '생태하천복원 사업'은 모두 2020년부터 국고보조사업에서 지자체 일반사업으로 전환됐다.예정처는 "2014년 이후 지자체 지원 보조율이 감소하고 여기에 더해 2020년 지방하천 관련 사업의 지방정부 이양으로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사업비를 편성하게 되면서 지방하천 정비 등의 투자에 소홀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고 분석했다.지방하천이 지방으로 이양된 이후 정부는 일정 기준에 따라 사업비 일부를 지자체에 보전해주고 있다. 다만 예정처는 "지자체의 지속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전환사업 운영기준을 개선하는 등 중앙·지방간 협력 방안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물 관리
천안아이파크시티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