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경 칼럼 (12)최근 스무 분가량

sans339
2025-08-02 23:24
1
0
본문
쿠팡퀵플렉스
이도경 칼럼 (12)최근 스무 분가량의 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이 모인 e스포츠 간담회에 참석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e스포츠 동아리를 운영하는 교사들, 학교 현장에서 e스포츠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분들이었다.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가 e스포츠를 누구보다 사랑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그 사랑만으로는 넘기 어려운 벽이 있다는 것이다. 선생님들은 학교라는 제도 안에서 e스포츠 활동을 운영하는 데 따르는 다양한 어려움을 진솔하게 들려주셨다.가장 큰 고충은 교육과정과 업무 체계 사이에 e스포츠가 ‘자리 잡을 곳이 없다’는 점이었다. 교는 과목 단위로 행정이 돌아가는데, e스포츠는 ‘체육’, ‘정보’, ‘예체능’ 그 어디에도 정확히 속하지 못한 채 창의적 체험 활동 안에만 머물러 있다. 교사들은 이런 구조 속에서 지도 업무가 실적에 반영되지 않고, 출장도 어렵고, 대회 참여를 위해 출장을 나가기도 쉽지 않다는 어려움을 토로했다.전공 학생이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도 상황은 녹록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은평메디텍고등학교에는 120명의 e스포츠 학과 학생이 있지만 이를 지도하는 교사는 단 3명뿐이다. 훈련 시간은 부족하고, 정규 수업 외 활동은 최소 교육 이수시간에 포함되지 않아 지도에도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 있었다. 한 교사는 교육과정을 만들 때도 매번 처음부터 다시 짜는 기분이라며, 현장 교사에게 교과서와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기술적 환경도 장애 요소다. 학교 내부망의 방화벽 설정으로 인해 외부 게임 서버와의 연결이 어렵고, 대회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회선 안정성도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회선 속도가 불안정해 대회 중간에 접속이 끊기거나, 서버 지연(3분 딜레이)으로 인한 불공정 시비도 종종 벌어진다고 한다.제도적 문제도 지적됐다. 현재 문체부가 주관하는 대회에 교육부는 공식적으로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공교육 체계 안에서는 이를 ‘공식 활동’으로 인정해주지 않는다. 선생님들은 교육부와 교육청 차원에서 주최하거나 최소한 공동 주관의 형태로 시상과 출장 근거가 마련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시상 실적이 교사의 평정이나 학생의 진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현장 참여 유인은 훨씬 커질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일부 지역 교육청의 사례도 공유됐다. 경기도교육청과 강원도교육이도경 칼럼 (12)최근 스무 분가량의 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이 모인 e스포츠 간담회에 참석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e스포츠 동아리를 운영하는 교사들, 학교 현장에서 e스포츠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분들이었다.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가 e스포츠를 누구보다 사랑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그 사랑만으로는 넘기 어려운 벽이 있다는 것이다. 선생님들은 학교라는 제도 안에서 e스포츠 활동을 운영하는 데 따르는 다양한 어려움을 진솔하게 들려주셨다.가장 큰 고충은 교육과정과 업무 체계 사이에 e스포츠가 ‘자리 잡을 곳이 없다’는 점이었다. 교는 과목 단위로 행정이 돌아가는데, e스포츠는 ‘체육’, ‘정보’, ‘예체능’ 그 어디에도 정확히 속하지 못한 채 창의적 체험 활동 안에만 머물러 있다. 교사들은 이런 구조 속에서 지도 업무가 실적에 반영되지 않고, 출장도 어렵고, 대회 참여를 위해 출장을 나가기도 쉽지 않다는 어려움을 토로했다.전공 학생이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도 상황은 녹록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은평메디텍고등학교에는 120명의 e스포츠 학과 학생이 있지만 이를 지도하는 교사는 단 3명뿐이다. 훈련 시간은 부족하고, 정규 수업 외 활동은 최소 교육 이수시간에 포함되지 않아 지도에도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 있었다. 한 교사는 교육과정을 만들 때도 매번 처음부터 다시 짜는 기분이라며, 현장 교사에게 교과서와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기술적 환경도 장애 요소다. 학교 내부망의 방화벽 설정으로 인해 외부 게임 서버와의 연결이 어렵고, 대회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회선 안정성도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회선 속도가 불안정해 대회 중간에 접속이 끊기거나, 서버 지연(3분 딜레이)으로 인한 불공정 시비도 종종 벌어진다고 한다.제도적 문제도 지적됐다. 현재 문체부가 주관하는 대회에 교육부는 공식적으로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공교육 체계 안에서는 이를 ‘공식 활동’으로 인정해주지 않는다. 선생님들은 교육부와 교육청 차원에서 주최하거나 최소한 공동 주관의 형태로 시상과 출장 근거가 마련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시상 실적이 교사의 평정이나 학생의 진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현장 참여 유인은 훨씬 커질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일부 지역 교육청의 사례도 공유됐다.
쿠팡퀵플렉스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