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한미 관세협상 지렛대 '조선업'…'한

sans339
2025-08-04 06:42
10
0
본문
평택입주청소
[the300] 한미 관세협상 지렛대 '조선업'…'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은 1년 이상 표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국가 안보 차원에서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마친 뒤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다.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고 밝히고 있다. / AFP=뉴스1정부가 최근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약속했지만 정작 국내에선 8조원 규모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이 수년째 지연되고 있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과열 경쟁을 벌인 데 더해 방위사업청의 부실한 사업 관리가 일정 지연의 원인이라는 지적이다.3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방사청은 다음달 국방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 개최를 목표하고 있다. 방추위가 열리려면 25명이 위원으로 있는 '방위사업기획관리 분과위원회'(분과위)에서 'KDDX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기본계획안'이 논의돼야 한다.그러나 방사청은 지난 4월 분과위에서 관련 안건을 논의했지만 보류 결정을 내렸다. 대통령 선거 전 KDDX 업체 선정이 '정치적 오해'를 불러 추후 사업이 좌초될 수 있다는 게 이유였다. 당시 방사청은 KDDX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국회에 관련 계획을 설명한다고 밝혔지만 그동안 대선 등의 일정 탓에 설명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한다.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이번달 중 국회 설명회를 마치면 분과위와 방추위는 늦어도 다음달 중에는 이뤄질 것"이라며 "국회에서 별다른 지적 등 이슈가 없으면 업체 선정과 이후 계약 체결도 연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개요 / 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하지만 군과 방산업계에선 방사청의 부실한 사업 관리로 인해 사업이 수년 간 지연됐다고 지적한다. KDDX 사업은 2030년까지 약 7조8000억원을 투입해 6000t(톤)급 최신형 이지스함 6척을 확보하는 국책사업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목적으로 한다.해군의 KDDX 소요는 2011년 확정됐고 이듬해 1단계인 개념설계를 한화오션의 전신인 대우조선해양이 실시했다. 2단계 기본설계가 이뤄져야 하지만 당시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3척을 진수하면서 KDDX 사업은 7년 간 멈췄다.기본설계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년 간 HD현대중공업을 통해 이뤄졌다. 개념설계부터 기본설계까지 약 10년 간 양 기업의 법적 분쟁도 있었다. 과거 한화오션 주도로 마련된 [the300] 한미 관세협상 지렛대 '조선업'…'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은 1년 이상 표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국가 안보 차원에서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을 마친 뒤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다.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고 밝히고 있다. / AFP=뉴스1정부가 최근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약속했지만 정작 국내에선 8조원 규모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이 수년째 지연되고 있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과열 경쟁을 벌인 데 더해 방위사업청의 부실한 사업 관리가 일정 지연의 원인이라는 지적이다.3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방사청은 다음달 국방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 개최를 목표하고 있다. 방추위가 열리려면 25명이 위원으로 있는 '방위사업기획관리 분과위원회'(분과위)에서 'KDDX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기본계획안'이 논의돼야 한다.그러나 방사청은 지난 4월 분과위에서 관련 안건을 논의했지만 보류 결정을 내렸다. 대통령 선거 전 KDDX 업체 선정이 '정치적 오해'를 불러 추후 사업이 좌초될 수 있다는 게 이유였다. 당시 방사청은 KDDX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국회에 관련 계획을 설명한다고 밝혔지만 그동안 대선 등의 일정 탓에 설명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한다.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이번달 중 국회 설명회를 마치면 분과위와 방추위는 늦어도 다음달 중에는 이뤄질 것"이라며 "국회에서 별다른 지적 등 이슈가 없으면 업체 선정과 이후 계약 체결도 연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개요 / 그래픽=이지혜 디자인기자하지만 군과 방산업계에선 방사청의 부실한 사업 관리로 인해 사업이 수년 간 지연됐다고 지적한다. KDDX 사업은 2030년까지 약 7조8000억원을 투입해 6000t(톤)급 최신형 이지스함 6척을 확보하는 국책사업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목적으로 한다.해군의 KDDX 소요는 2011년 확정됐고 이듬해 1단계인 개념설계를 한화오션의 전신인
평택입주청소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