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sans339
2025-08-04 09:34
13
0
본문
부산헌옷방문수거
2023년 7월16일 오후 경북 예천면 감천면 벌방리 한 마을이 산사태로 쏟아진 흙이 파묻혀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2023년 7월 폭우 이후 산사태로 25명이 사망·실종한 뒤 행정안전부(행안부)와 산림청에서 각각 조사 보고서를 냈으나, 두 보고서는 원인 분석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행안부는 주로 임도(작업로 포함)의 건설과 관리, 주택 건설, 토지 용도 변경 등 주로 ‘인위적’ 원인을 지목했다. 그러나 산림청은 주로 폭우와 지형, 지질 등 ‘자연’에서 산사태 원인을 찾았다. 이에 따라 산림에 대한 인위적 행위의 주체인 산림청이 산사태 원인 조사를 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3일 한겨레는 2023년 9월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낸 ‘23년 7월 중부지방 토사재해 피해지역 현장조사 결과보고서’와 2023년 8월 산림청이 낸 ‘산사태 원인 조사 보고서’를 입수해 비교 검토했다. 먼저 행안부의 보고서를 보면, 행안부는 산사태의 첫째 원인으로 ‘입목벌채(나무 베기) 작업로 방치 및 배수시설 부재로 산사태 위험성 가중’을 꼽았다. 산에서 나무를 베기 위해 낸 작업로를 원상태로 복구하지 않았거나 배수 시설을 하지 않았고, 심지어 산사태 취약 지역을 지정할 때 이런 작업로를 위험 요소로도 포함하지 않은 것 등이 산사태 위험을 키운 원인이라는 것이다.행안부는 둘째로 ‘임도의 노선 선정 및 유지관리 시 산사태 피해 영향 소극적 고려’를 꼽았다. 임도 노선을 결정할 때 임도 하류의 영향 평가가 없고, 임도를 개량할 때 하류 주택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임도를 내기 위해 흙을 쌓은 비탈(성토사면)의 강화나 2차 피해를 막는 시설 설치가 부족하다는 것이다.특히 행안부는 임도로 인한 산사태와 관련해 “23년 발생한 인명 피해 지역 15곳 중 임도(작업로 포함)와 관련한 산사태는 4곳으로 6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임도 아래 성토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며 “극한호우의 영향으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4곳은 경북 예천군 감천면 진평리, 은풍면 금곡리,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 청양군 정산면 해산리 등이었다.이밖에 행안부는 다른 원인으로 주택 건설이나 토지 용도 변경, 취약 지역 미지정 등 인위적 요소들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산지 생후 2주 지났을 때 귀 옆에 희귀 혈관종이 생긴 브론테./사진=더 선 생후 2주 된 아기의 귀 옆에 생긴 작은 점이 희귀 혈관종으로 밝혀져 고된 치료 과정을 겪고 있는 안타까운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7월 22일(현지시각)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나탈리 브룩스(29)는 태어난 지 2주 지난 딸 브론테의 귀 옆에 평평한 자국을 발견해 병원을 찾았지만, 당시 의료진은 갓난아기에게 흔히 발견되는 푸른색 얼룩점인 몽고반점이라며 추가 검사를 권하지 않았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이 자국은 점점 커지고 색이 짙어졌으며, 피부 표면에서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나탈리의 지속적인 검사 요청으로 아기에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진행한 결과, 브론테는 ‘카포지형 혈관내피종(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이라는 희귀 혈관종을 진단받았다. 브론테의 경과는 악화했으며, 혈액이 정상적으로 응고되지 않는 증상까지 나타났다. 나탈리는 “악성 종양은 아니라고 하지만 증상 악화를 막기 위해 항암치료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브론테는 6주간 입원치료를 받은 뒤 퇴원했지만, 10일 후 종양이 다시 자라 입원해야 했다. 의료진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라며 “평생 치료받아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나탈리는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협이 되는 질환이다”라고 했다. 현재 생후 8개월인 브론테는 면역억제제와 수혈 치료를 받고 있으며,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할 수 있다. 치료받고 있는 브론테./사진=더 선 브론테가 진단받은 카포지형 혈관내피종은 영유아기에 발생하는 희귀한 혈관성 종양이다. 혈관내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 때문에 발병한다. 악성 종양은 아니지만, 주변 조직을 공격해 변형을 일으키거나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수유 거부와 수면 장애 등 신생아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도 있다. 카포지형 혈관내피종은 자연퇴화하지 않고 치료가 어렵다. 환자들은 외과적 절제술로 혈관내피종을 제거한 후 추적 관찰하는 편이다. 다만, 범위가 너무 넓다면 출혈 위험이 커 스테
부산헌옷방문수거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